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하나님의 선교 (The Mission of God) - 1

RETHINK 시리즈

by 조셉 선교사 2020. 10. 9. 18:57

본문

하나님의 선교: 하나님의 충만함을 나타내는 통전선교

                                                                                                                            

 1. 서론

크리스토퍼 라이트는 '선교는 우리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것이라고 말합니다. [1] 결과적으로 선교는 모든 사람을 위한 하나님의 충만한 생명을 영적, 육체적, 정신적, 물질적, 사회적 측면에 전체적으로 나타내시는 하나님의 표현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하시는 선교는 하나님의 다차원적 활동이 통전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2]

이 에세이의 주요 목적은 통합적 신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하나님의 선교의 기초, 목적 및 본질을 이해하면서 하나님의 통전적 선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모든 성경의 중심이라는 가정으로 시작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공생을 시작하시면서 자신의 사역 선언문을 낭독하신 나사렛 선언문 (누가복음 4장) 에 대한 성경 분석으로 시작하여 통전적 선교의 주제를 탐구할 것입니다. 본문의 이해가 일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른 정경의 부분과 상호 연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선교는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에 대한 성경적 탐구를 통해서 더욱 비교 연구될 것입니다. 역사적 교회와 현대 교회의 표현에서 볼 수 있는 교회의 전체론적 선교의 개념을 이해하고 오늘날 우리에게 그 의미하는 무엇인지 통합적으로 고찰해보려 합니다.

 

 

 2. 나사렛 선언에 나타난 예수님의 선교

어떤 신학적 주제에 대한 우리의 현재 이해는 과거의 증거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이어야 합니다. 성경은 과거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사에 의해서 기록되고 계시된 하나님의 백성들의 공유된 경험과 간증을 통해서 계시적인 진리로 형성되었습니다. 성령께서는 오늘날까지 그의 백성들의 공유된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 계시적 진리를 증거하고 계십니다. 성경은 과거에 일관된 계시적 증거이기 때문에 오늘날의 모든 신학적 관심사에 대한 기초적인 출처가 됩니다. 예수님께서 '성경이 나에 대해 증거하고 있다'라고 말씀하셨듯이, 우리가 성경을 올바르게 읽으려면 우리의 이해는 예수님으로부터 시작하여 끊임없이 그분께로 돌아와야 합니다 (요 5:39). 성경 자체가 예수 그리스도가 모든 정경의 중심이라는 것을 증거하기 때문에, 성경의 모든 주제가 그에게 수렴되고 그분과 관련하여 최종적이고 완전한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누가 복음 24:44-48, 고린도 전서 15:4-8) [3] 이런 면에서 나사렛 선언문은 선교학적 관심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기에 적합한 곳입니다. 이것은 이 구절의 진술이 예수 자신이 율법과 구약의 선지자의 글들 통해서 자신의 선교적 사명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메시아가 오실 것이라는 기대는 바벨론 유배 이후 오랫동안 높았으며, 예수께서 사역하시던 이스라엘의 1 세기 시대에도 여전히 강렬했습니다.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약속의 땅 밖에 흩어져 있었지만 바벨론에서 돌아온 소수의 사람들조차도 이교도들의 압제 아래서 계속 고통을 겪었습니다. [4]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허락하신 선지자들의 예언에 따라 그들은 여전히 ​​메시아의 때가 올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하나님의 왕국이 모든 반역적인 인간 나라를 대체하여 그들을 파괴하며 종말이 오게 될 때, 하나님의 나라는 영원히 지속될 것임을 소망했습니다. (다니엘 2 : 44-45) [5] 이 점에서 '하나님의 나라는 심판의 개념과 악인의 멸망과도 관련이 있습니다.'[6] 인자의 나라가 도래하게 되면, 그분의 나라는 그분에게 속한 것입니다. 성도들도 그분의 통치에 참여할 것입니다. (다니엘 7:18, 22, 27) [7] 이 약속을 회상하는 것은 국가적 희망을 표현하는 규칙적인 수단이었으며, 우리 하나님이 통치하신다는 믿음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예수님은 다가오는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고 그 나라의 실제를 선포하고 실천하셨습니다. 그는 누가 복음 4 :14-30에서 청중들에게 그의 사명을 선언하시면서 다가오는 하나님의 통치의 의미와 그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요약했습니다. 이사야로부터 '출애굽과 희년을 모티브로 한 메시아의 사역의 구원의 좋은 소식'을 직접 언급 한 구절을 읽은 후, [8] 그는 자신을 이사야의 메시지인 '당신의 하나님이 다스리십니다.'라는 말씀이 자신의 메시아의 사역을 통해서 성취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사야 52 : 7) [9] 그는 기름 부음 받은 자이며 '포로에게 자유를 선포하고 눈먼 자에게 눈을 뜨게 하며, 억압받는 사람들을 해방시킬 것입니다.' (누가복음 4 : 18-19) 래드가 지적했듯이 '이것이 그의 나사렛 선언의 핵심이며 그의 선교를 이해하는 열쇠입니다.'[10] 예수께서는 '오늘날 이 말씀이 당신에게 성취되었습니다'라고 선포하셨습니다. (누가복음 4:20-21)

'주님의 은혜의 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자신의 선교의 사역의 의미를 재해석하면서, 예수님은 새롭고 희망이 가득한 날을 반복적으로 예고하는 희년의 메아리로서 자신의 사명을 나타냅니다. 희년은 주로 대가족의 경제적 보호를 위한 조치였습니다. (레 25:8–17) [11] 희년에 가난으로 인해 노예가 된 사람들이 풀려났고, (레위기 25 : 39-41)의 빚도 탕감되었습니다. 안식년 7 년 (신명기 15 : 1-6)에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서 애굽 땅에서 인도하신 하나님의 종이라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해, 노예와 노예 상태에서 사람들을 구원하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상황에 따라 노예가 될 수도 있지만 완전히 노예화되지는 않았습니다. (레위기 25:42, 25:38, 55) [12] 희년은 이런 노예의 속박에 있는 사람들이 해방되는 해입니다. 구약 자체 내에서 희년은 개인 해방의 이미지와 현재의 사회적 차원을 고려한 종말론 적 표현을 이미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희년의 개념이 구체화된 비전과 희망은 하나님이 궁극적으로 기대했던 종말론적 왕국 이스라엘에서 성취하실 구원의 개인적, 사회 정치적, 경제적, 물리적, 영적 측면을 통합하는 이사야 61 장의 예언적 구절에 영감을 주었습니다.[13] 이 구절을 고의적으로 선택하고 주요 주변 구절을 생략하면서, 예수님은 그의 메시아적 사명 선언문에서 이사야 61:1-2의 종말론적 성취라고 선포하며, 복수의 날이 아니라 주님의 은혜의 해를 선언합니다. 그는 극심한 기근 동안 이스라엘에 과부가 많았지만 엘리야는 그들 중 누구에게도 보내지지 않았고, 오직 이방인 시돈 과부에게로 보내졌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이사야 61:1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복음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이방인들뿐만 아니라 이방인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가장 낮은 계급, 특히 과부와 문둥병 환자에게도 하나님의 은혜가 부어졌음을 묘사하고 있습니다.[14]

누가 복음 4 장에서 더 넓은 맥락에서 보면, 하나님 나라의 성취에 관한 예수님의 나사렛 사명 선언문 내용이 누가 복음 전체의 이야기로 확장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에서 하나님의 통치는 단지 미래에 있을 것만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것과 현재에도 이미 실제화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는 병자, 가난한 자, 억압받는 자에게 메시아의 사역을 통해서 하나님 나라의 임하신 것을 선언합니다. 그는 또한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에 대한 그의 통치를 확립하여 그들의 가장 깊은 희망을 이루 실 것을 약속합니다. 하나님의 역동적인 사역은 특히 그의 백성을 악한 세력으로부터 구출할 때 나타났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인격과 사역으로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도래했음을 보여주는 많은 증거 중 하나로 자신의 구원 사역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5] 예수님은 귀신을 쫓아내셨고 그 귀신이 나갔을 때 벙어리가 말하고 군중은 놀랐습니다. (누가 11:14) 다음으로 그는 자신의 이 사역이 억누르는 악의 세력 (21~22)에서 사람들을 해방시키는 하나님의 강력한 통치 (누가복음 11:20)의 증거라고 설명합니다. 누가는 하나님의 '손가락'의 이미지를 출애굽기의 전염병 이야기 (8:19)에서 동일한 문구로 사용하며 이를 대조적으로 설명합니다. 그의 선교의 사명은 악한 영의 힘으로부터의 구원을 포함하여 전체적이며 통전적인 구원을 가져옵니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불구가 된 여자의 치유를 사탄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누가복음 13:10-17) 마이클 그린에 따르면 당시 지중해 시대에 사람이 질병을 갖게 되면 '수치심과 함께 사회적, 종교적 배제'라는 결과 가져왔다고 증거합니다.[16]

그러므로 예수님의 선교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통치는 사람들의 삶 전체에 대한 하나님의 돌보심의 표현으로 해석됩니다.[17] 그것은 특히 이사야의 희년 모티브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통전적인 하나님의 선교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선교는 영적, 육체적,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국제적, 현재와 종말론적이라는 본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18] 그리스도의 삶과 사역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그의 구속을 성취하기 위해 결정적으로 행동하셨으며, 하나님의 통치의 전체적인 회복을 위한 목적을 이루신 것입니다.

 

 

The Mission of God as the Holistic Expression of His fullness

                                                                                                                                                                                                                                                        - Joseph Shin-

 

1. Introduction

Christopher Wright points out, ‘the mission is not ours, the mission is God’s.[1]As a result, the mission is the expression of God beginning with ‘the fullness of God’ and resulting in ‘fullness of life for all’, and the ‘spiritual, physical, mental, material, and social aspects of life’ as a whole are addressed and manifested through God’s multidimensional activity in mission.[2]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gain a fresh perspective on the holistic mission of God, understanding its foundation, aim and nature in applying an integrative theological method. Starting with the supposition that Jesus Christ is the centre of all Scripture, a relevant strategy would be to explore the theme of holistic mission by beginning with a scriptural analysis of the Nazareth manifesto (Luke 4). The mission of God will be also studied further by a scriptural survey of Acts and the Pauline epistles as any understanding of the text needs to be correlated with other parts of the canon for consistency. In missiological reflection, I will attemp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olistic mission with church as seen in history and in contemporary expression, integrating and addressing its implications for us today.

 

2. The Mission of Jesus in the Nazareth Manifesto

ur present understanding of any theological concern should lie in continuity with past testimonies. Scripture was formed as revelatory truth through the shared experience and testimonies of God’s people, documenting and being revealed by the activities of the Triune God in the past. The Spirit continues with consistency to witness through the shared experience of his people until today. As Scripture is the coherent revelatory testimonies in the past, it is also the foundational source for any theological concern for today. As Jesus himself says that ‘the Scriptures testify about me’, our understanding must begin with Jesus and constantly return to Him, if we are to read Scripture correctly (John 5: 39). Because Scripture itself testifies that Jesus Christ is the centre of all the canon of Scripture, all the themes of Scripture converge on him and find their final and fullest significance with reference to Him. (Luke 24:44-48,1 Corinthians 15:4-8)[3]In this regard, the Nazareth manifesto is an appropriate place to begin for any study of missiological concern. This is because the statements in this passage reveal how Jesus himself understood his mission and praxis in continuity of the law and the prophet of the Old Testament: Jesus clearly sees his own context as an example and continuity of the pattern set out in the Scriptures of the Old Testament.

In the historical and religious context of the 1st century, messianic expectations had been high long after the Babylonian exile and still prevailed in His day. While most Jews remained scattered outside of the promised land, even the small number who had returned from Babylon continued to suffer under pagan oppressors.[4] However, according to the prophetic voices God had granted them, they still expected that the time would come when the Kingdom of God would replace all rebellious human kingdoms, crushing them and bringing them to an end, while God’s Kingdom will itself endure forever. (Daniel 2:44-45)[5] In this regard, ‘God’s Kingdom is associated the notion of judgment, with the destruction of the wicked’.[6] When the Kingdom of the son of man arrives, those who are His saints will participate in this reign. (Daniel 7:18, 22, 27)[7] Recalling this promise was a regular means of expressing the national hope, invoking in its support the belief that our God reigns.

Jesus proclaimed the coming Kingdom of God and both preached and practised its presence. He summarised both the meaning of the coming reign of God and his own role within it when he presented listeners with his mission statement in Luke 4:14-30. After reading from Isaiah a passage that refers directly to ‘the good news of messianic salvation, with its motif of both exodus and jubilee’,[8] he sees and describes himself as the herald of a new age through whom Isaiah’s message – ‘Your God reigns’ – is fulfilled. (Isaiah 52:7)[9] He is the anointed one and has been sent to ‘proclaim release to the captive, and recovering of sight to the blind, to set at liberty those who are oppressed, to proclaim the acceptable year of the Lord’. (Luke 4:18-19) as Ladd points out, ‘this is the heart of his proclamation and the key to his entire mission’.[10] Jesus affirmed, ‘Today this scripture has been fulfilled in your hearing’. (Luke 4:20-21)

In contextualizing his mission using the phrase, ‘the year of the Lord’s favour’, Jesus manifests his mission as an echo of the year of Jubilee that was intended to repeatedly herald a new and hope-filled day. This was an economic institution intended primarily for the protection of the extended family. (Lev 25:8–17)[11] During the year of Jubilee, those forced into slavery due to poverty were released, (Leviticus 25:39-41)’ debts were also erased, since this was the fiftieth year, following seven times seven sabbatical years (Deuteronomy 15:1-6). The Israelites were commanded to deliver people from bondage and slavery as a reminder that they were the servants of God, whom He brought out of the land of Egypt, and they shall not be sold as slaves are sold. (Leviticus 25:42, 25:38, 55)[12] Jubilee is the year of liberation from bondage. Within the OT itself, the Jubilee had already attracted an eschatological expression which used the imagery of individual liberation as well as consideration of the social dimension in the present. The vision and hope embodied in the concept of Jubilee inspired the prophetic passage of Isaiah 61, carrying its integration of the personal, socio-political, economic, physical and spiritual aspects of the salvation that God would ultimately fulfil in the eschatological Kingdom Israel anticipated.[13] In his deliberate selection of this passage and omission of key surrounding verses, Jesus proclaims his messianic claim to be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of Isaiah 61:1-2, declaring the year of the Lord's favour, but not the day of vengeance. He explains that there were many widows in Israel during a severe famine, but Elijah was sent to none of them, only to a Gentile widow of Sidon. This distinction correlates with the good news to the poor of Isaiah 61:1. The story depict God's grace poured out not only upon the Gentiles, but even upon the lowliest of the all classes found among the Gentiles, specifically a widow and a leper.[14]

In the wider literary context of Luke 4, it can clearly be seen that the content of Jesus’ manifesto about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of the Kingdom is extended to the narrative of Luke as whole. In Jesus’ life and ministry, God’s reign is not understood as exclusively yet to come in the future but as both something for the future and something already present. He announces the coming of the Kingdom in the context of his ministry to the sick, to the possessed, the poor, the outcast and the oppressed; he also promises again that God will establish his rule over his people thus fulfilling their deepest hope. God’s dynamic action was often seen in his deliverance of men, especially his people, from evil powers; Jesus performs his ministry of deliverance as one of many proofs that ‘in his person and work the Kingdom of God has already come’.[15] Jesus casts out a demon and when the demon had gone out, the mute spoke and the multitudes marvelled. (Luke 11:14) He next offers a constructive interpretation of his exorcisms, describing them as an effective demonstration of God’s powerful reign (Luke 11:20) which liberates people from oppressive evil powers (21–22). Luke does this by means of contrasting the image of God’s ‘finger’ with the use of the same phrase in the plague narrative of Exodus (8:19). His mission brings a holistic salvation, including deliverance from power of evil spirits. In the same way, Jesus interprets the healing of a crippled woman as release from the bondage of Satan. (Luke 13:10-17) According to Green, disease in Mediterranean world at the time brought ‘shame as well as social and religious exclusion’.[16]

Therefore, in the mission of Jesus, God’s reign is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God’s caring authority over the whole of life’.[17] It was the very mission of God, found particularly in the Jubilee motif in Isaiah and being holistic in nature in that it is both ‘spiritual and physical, individual and soci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and present and eschatological’.[18] The fundamental premise is that in the life and the work of Christ, God has acted definitively to fulfil his redemptive purpose for the holistic restoration of the reign of God through the mission of Jesus.




 

[1]Wright, The Mission, 62.

[2] George,‘Holistic Mission’, 286-7

[3] Bauckham,Bible, 142.

[4] Wright,New Testament, 87-88, 140-141.

[5] Goldingay,Daniel, 192.

[6] Riches,Judaism, 93.

[7] Selman,‘The Kingdom’, 172.

[8] Wright,Mission, 309.

[9] Padilla,Mission, 66.

[10] Ladd,Presence, 139.

[11] Wright,Mission, 295.

[12] Hertig,‘The Jubilee’, 171.

[13] Wright,Mission, 300-301.

[14] Hertig,169.

[15] Padilla,Mission, 68.

[16] Green,Luke, 97.

[17] Bosch,Mission,34.

[18] Hertig,176-177.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