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스게이트 교회 KingsGate Church

모든 민족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의 통로

칼럼 54

12. 오바댜 - 책별로 시간 순서를 따라 배경(context)을 이해하며 성경 읽기

1. 배경(Context) 오바댜의 이름은 ‘여호와의 예배자 또는 여호와의 종’을 의미합니다. 오바댜의 저작 연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학자들마다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저는 포로기 이전의 선지서 중 첫 번째 선지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봅니다. 오바댜서는 에돔에 관한 말씀입니다. 저작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에돔과 예루살렘에 대해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오바댜의 저작 연대를 이와 관련하여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연대에 관한 유일한 근거는 예루살렘에 대한 공격 (오바댜 1:10-14)이며, 이 구절을 통해서 또한 에돔이 당시 유다의 통치 아래 있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하 21:16-17에는 블레셋 사람들과 아라비아 사람들이 여호람의 통치 (주전 848-841년) 동안에 있었..

'방언이 오늘날의 모든 신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주어질 수 있는 은사인가?

1. 서론 성령의 은사 중에 하나인 방언은 교회에서 지속적으로 논쟁이 되는 주제였습니다. 특히 오순절 교단의 신자들에게는 방언의 은사가 성령 세례의 물리적 증거라고 보는 교리는 아주 중요한 교리 중에 하나입니다. [1] 이 에세이의 목적은 먼저 누가와 사도 바울의 관점에서 방언에서의 성령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누가와 바울이 쓴 정경에 대한 신학적 탐구를 근거로 하여 '방언이 오늘날의 모든 신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주어질 수 있는 은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2. 사도 행전에서 나타난 방언에서의 성령의 역할 누가 복음과 사도행전은 이방인으로 추정되는 데오빌로에게 기독교의 복음의 정의, 정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저자인 누가는 데오빌로에게..

세상 중심에서 변화를 이끄는 리더

바벨론은 정욕적인 욕심, 자기 숭배와 각종 우상으로 가득한 혼돈과 무질서의 장소였습니다. 오늘날 바벨론적 문화는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우리는 다니엘과 같이 이러한 바벨론적 세상의 중심에 서서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리더로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우리에게는 다니엘에게 주셨던 지혜와 능력의 영이 우리에게 임해있습니다. 그 분 안에서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팟캐스트 설교: http://www.podbbang.com/ch/1778377?e=23870570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르는 믿음의 항해자

'내 형질이 이루기 전에 주의 눈이 보셨으며나를 위하여 정한 날이 하나도 되기 전에주의 책에 다 기록이 되었나이다.'(시 139:16) 하나님은 우리가 태어나기 이 전에 우리를 향한 놀라운 계획을 준비하셨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운명론자들이 이야기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우리가 그의 부르심을 따라 나아가기 시작할 때, 그의 놀라운 계획이 우리의 삶 속에 실제가 되기 시작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그 놀라운 부르심으로 초청하고 계시며,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르는 믿음의 항해자가 되기를 기대하고 계십니다! http://www.podbbang.com/ch/1778377?e=23868694

‘is speaking in tongues universally available for all believers for today?’

1. Introduction The charismatic gift of tongues has been a fascinating and enduring subject of a debate in Christian circles. In particular among Pentecostals, for who the gift of tongues is a significant issue within their doctrinal statement as they see it as the initial physical evidence of Holy Spirit baptism.[1]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role of the Spirit when someone spea..

칼럼/ARTICLES 2020.11.03

11. 열왕기 하 - 책별로 시간 순서를 따라 배경(context)을 이해하며 성경 읽기

오므리 왕조의 바알 숭배 VS 엘리사 (열왕기 하 1장 - 8장)아합의 뒤를 이은 그의 아들 아하시야도 아버지 아합과 같이 행하며 열왕기 서에는 그에 관해 그가 자신의 병을 에그론의 신 바알세붑에게 물었다는 유일한 사건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알 신을 가져온 이세벨 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는 자신의 중대한 일을 하나님께 묻지 않고 바알신에게 묻는 것이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결과였는지 모릅니다. 그의 행적을 통해 그의 부모로부터 내려온 바알 신 숭배가 얼마나 그다음 세대도 또한 지배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가 바알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은 하나님을 부인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하나님은 엘리야를 보내서 그에게 다가올 죽음의 심판을 선포하게 하시고, 말씀하신 대로 그는 머지않아 죽음을 맞이하게 되므로 ..

Rethink on Minjung Theology of Ahn Byoung Mu and His Theological Method

1. Introduction Korea is often described as the ‘Queen of Suffering’, simply because as a nation, ‘it has suffered great turmoil throughout its history’.[1] In the context of post-war Korea, people were desperately looking for ways to meet their needs in the present reality. In response to the poverty and oppression that lingered after the devastating war in Korea (1950-53), minjung[2] theology ..

하나님의 선교 (The Mission of God) - 2

3. 사도 행전과 바울의 선교​ ​성경은 수천 년에 걸쳐 수많은 저자가 쓴 다양한 형식과 유형 저작 모음이므로 특정 주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은 적절한 문맥(context)에서 적절하고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성경적 사고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한 신중한 분별은 신학적 주제나 주장이 한 본문만 볼 것이 아니라, 다른 정경의 다른 문맥 속에서도 일관적으로 연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개별적 본문과 구절이 말하고 있는바는 성경 본문의 문맥을 통해서 전체적인 하나님 말씀의 이해와 정경의 다른 부분과 일치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어야 합니다. Vanhoozer가 '하나님은 법이나 원칙이 아니라 그의 성품에 묶여 있다'라고 말했듯이, 우리는 이야기에서 드러난 것처럼 하나님의 본질..

10. 열왕기 상 - 책별로 시간순서를 따라 배경(context)을 이해하며 성경읽기

1.배경 (CONTEXT) 역사의 기록은 모두 저자의 관점과 필요에 따라 수집되고 편집된 정보의 산물입니다. 구약 성경의 역사서는 많은 이스라엘의 역사들 가운데 하나님의 관점에 있어서 중요한 이야기들이 선택되고 편집된 이스라엘의 역사입니다. 열왕기 상하의 이스라엘 왕조의 역사는 특별히 신명기의 주제와 관점에 따라 구성되었습니다. 신명기에는 이미 이스라엘의 역사 속에 그들의 하나님과의 언약에 신실함의 여부에 따라 축복과 저주가 있을 것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열왕기에 이스라엘의 왕조의 역사는 신명기 28장에 주어진 말씀대로 그들의 순종과 불순종에 따른 결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무엘 하와 열왕기 상 초반은 이스라엘의 강력한 지위를 묘사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열왕기의 왕조들은 국가의 몰락에 관한 역사입니다. ..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생각

그는 너를 만드시고 세우신 창조자, 당신의 아버지이십니다. (신 3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마음을 감찰하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롬 8: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