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스게이트 교회 KingsGate Church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의 통로

모든 민족에게!

아브라함의언약 3

5. 성경을 여는 열쇠 '언약' (아브라함의 언약 2)

창세기 14장에 보면 아브라함이 살던 지역에 부족 간의 전쟁이 일어났다. 소돔에 살고 있던 아브라함의 조카 롯이 전쟁포로로 끌려가고 있었다. 아브라함은 조카가 사로잡힌 것을 듣고 수하의 삼백십팔 명의 종들을 데리고 야습을 펼쳐 조카 롯을 구하고, 그 재물과 또 부녀와 사람들을 다 찾아왔다. (창세기 14:14-16) 돌아오는 길에 살렘 왕 멜기세덱을 만나 자신이 취한 물품을 모두 돌려주었다. 하나님이 아닌 사람으로부터 부를 얻었다는 것을 염려하여 아무것도 취하지 않았던 것이다. 돌아오는 길에 왕들의 추격을 받을 수도, 모든 사람들이 전멸을 당할 수도 있었다. 그는 아무런 전리품도 가진 것이 없었다. 큰 민족을 이루고 모든 족속이 자신의 후손을 통해서 복을 얻게 될 것이라 하셨지만, 약속을 받은 지 10..

4. 성경을 여는 열쇠 '언약' (아브라함의 언약)

홍수의 심판으로부터 노아의 가족은 구원을 받았다. 믿음의 사람인 노아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으로 방주를 지어 가족들을 구원함으로 믿음의 후사들에게 본을 보여주었다. 노아의 가족으로부터 새롭게 시작된 인류가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기를 기대하셨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인류를 회복하기를 원하셨다.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신 목적대로 생육하여 번성하되, 그분의 성품을 따라 세상을 다스리는 삶을 살기를 기대하셨다. 그러나 노아의 가족으로부터 시작된 인류는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하나님을 떠났다. 여전히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고 자신들의 이름을 위하여 바벨탑을 쌓았다. 그리고 하나님은 물로 다시는 심판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하셨지만 그들은 그 말씀을 믿지 않았다. 바벨탑을 하늘 높이 쌓아 물의 ..

[1. 창세기 읽기 TIP] - 아브라함의 언약의 문화적 배경

[1. 창세기 읽기 TIP] - 아브라함의 언약의 문화적 배경 아브라함이 살았던 고대 시대에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언약의 개념이 있었으며 5가지의 요소가 있었다. 1>피로 맺는 언약두 언약의 동반자가 언약을 맺을 때 동물을 가져와서 두 조각을 내고 피를 흘리는 그 동물의 두 사체 사이를 지나가는 피의 언약식을 행한다. 이러한 언약식의 의미는 언약의 동반자를 위해서 이렇게 피 흘리기까지 싸울 것이며, 언약의 관계를 깨는 사람은 이렇게 동물과 같이 죽어도 마땅하다는 것을 서로 간에 맹세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이런 피의 언약을 맺은 것이다. 그가 가진 모든 것을 나에게 주시며 나와 이런 언약의 결속관계를 가지겠다는 것이며 이 언약은 절대로 깨질 수 없는 절대적인 것이었다. 2>겉옷을 교환언약을 맺을 ..